파이썬 기본 강좌 중 문자열을 변수로 생성하여 해당 문자열을 자르고, 수정하고, 추출하는 기본 기능에대해 알아보겠다.
1. 변수에 문자열을 담아두는 방법. 변수로 지정하는 방법
message = "Hello World!"
message
2.indexing
순서대로 문자열을 뽑아오는 방법
모든 프로그램에서는 수를 셀때 0이 처음이기 때문에, 첫글자를 불러오고 싶으면 숫자 0을 넣어야한다.
message[0]
message[1]
message[-1]
결과:
H
e
!
가 나오게 된다. 제일 첫 글자는 0인데, 왜 마지막글자는 -0이 아니라 -1 이냐면,
수학적으로 봤을 때 -0과 +0은 똑같기 때문이다 .0은 첫번째 고정이다. 라고 생각하면 헷갈일 일이 적다고 한다.
그렇다면 여기서 대괄호의 쓰임새는 뭘까 ?
대괄호는 보통 무언가를 검색하거나 색인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. 그외의 경우에는 대부분 소괄호를 사용한다. 리스트는 예외적인 경우이다.
3.slicing (슬라이싱)
문자열을 쪼개는 것
message[0:4]
message[4:]
자리0부터 자리4의 하나전까지 나오게 된다. 그리고 두번째 코드는 자리4부터 끝까지 라고 보면 된다.
결과:
Hell
o World!
가 나오게 된다. 결과물을 보면 네글자가 나오니까 4까지 나온거아냐?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, 컴퓨터 언어에서 1은 0이라는걸 잊으면 안도니다.
4. 추가: "문자열" in 변수
"Hell" in message
"h" in message
결과:
True
False
쌍따옴표 안의 문자열이 변수에 있으면 True, 없으면 False를 반환한다.
파이썬의 경우 대소문자를 꼼꼼하게 따지기 때문에 H는 있지만 h는 없는것으로 판단한다.
반응형
'OO하는 데이터분석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oogle cloud platform]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api 부여받기 (0) | 2020.12.16 |
---|---|
[파이썬]으로 데이터 분석하기, 판다스(pandas) 기초 (0) | 2020.12.16 |
[DSschool]파이썬에서 오류메세지 '잘' 읽는 법 (0) | 2020.11.15 |
[MyData]마이데이터란 무엇일까? (0) | 2020.11.10 |
[MySQL] 그룹내 순위(랭킹) 부여하는법 (0) | 2020.05.27 |